>안녕하세요... 380 난로 사용잡니다.
>
>저희는 사무실 에서 사용중인에여...
>
>첨에 살까 말까 많이 고민했었습니다... 작업장 용도로 제품을 디자인 하신 지라...
>
>사무실에서 쾌적하게 사용할수 있을까... 의심을 많이 했었는데여...
>
>모양의 투박함, 연소후 찌꺼기 청소, 폐유를 구하기 위한 주변 사람들 한테 아쉬운 소리 하기 등등
>약간의 귀찮은 점이 있긴 하지만... 연료비 대비 만족도가 높은 제품이였습니다.
>
>제가 사용한 폐유는 2가지 종류로 폐엔진오일 과 유압유(중장비 등의 작동유) 를 사용해 봤는데요
>
>폐엔진오일은 찌꺼기 등 불순물이 많고 기화되는데 많은 열이 필요로 하고 그 화력도 만족할만큼은
>아니 였던거 같습니다...
>
>반면... 폐유압유는 찌꺼기 거의 없고 기화되는데 필요한 열도 그다지 많이 필요하지 않고.. 화력도
>너무 더울 정도로 좋았습니다.
>
>두가지 연료 모두 처음 점화를 할땐.. 석유로 점화를 하고 정상 온도로 올리는데는 유압유 30분이상
>폐엔진오일 1시간30분 이상 걸렸던 것으로 기억되는데여..
>이는 폐유가 기화되는데 필요한 온도 이상으로 난로가 가열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생각 됩니다.
>
>여기서 한가지 난로에 대한 아쉬운 점이 생각났는데여.. 폐유를 난로 연소실에서 직접 가열하는것도 좋치만... 연료공급관 이나.. 깔대기 그릇 같은곳에서 예열을 하고 연소실로 보내는 장치가 있으면..
>더 빠른 시간에 정상온도로 높이는데 지대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그리고 여기에 한가지 더 보태서 문의 드릴것이 있는데여...
>
>폐유난로를 제가 직접 아주 허접한 수준의 보일러로 개조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
>저는 물론 난로나 보일링 시스템에 대한 전문가 가 아님을 먼저 말씀드리고 싶구요... 이런 분야에 대한 공부를 해본적도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
>380제품에 동파이프 나 스텐주름관 등을 감아서 사용할수 있다는 게시판 글을 읽어서 확인은 했습니다
>
>제생각으로는 파이프를 감는것 보다는 가스통 같은 것을 적당히 절단해서 난로와 용접을 해서
>가스통 과 난로 외벽 사이에 물을 채워 워터자켓을 만들어서 물을 데울수 있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허나 이렇게 되면... 난로 외벽이 온도가 최고 높을때 100도가 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워터자켓속에 물이 있으므로) 이는 폐유가 기화되는데 필요한 열을 물을 끊이는데 모두 소진된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워터자켓으로 인한 내부 연소에 관한 개발자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
>질문 1 . 연소실 외벽온도가 100도가 넘지 않는 다면 완전연소하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 (끄으름 등이 발생하기도 하나여?)
>
>질문 2. 혹 질문1 에서의 문제가 현실이라면... 연료를 예열시켜서 연소실로 보내는 장치를 설치 한다면
> 가능할런지요..? (예열 온도는 300도 정도)
>
>엉뚱한 질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 합니다.
>
>
>
>
>
답변입니다
현재 난로를 사용하고 계시는 현종훈님 께서는 세심한 부분까지 관심을 두시고 사용하고 있으시다는 것 을 질문글에서 느낄 수 가 있습니다.
문 1 . 연소실 외벽온도가 100도가 넘지 않는 다면 완전연소하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끄으름 등이 발생하기도 하나여?)
답: 물 자켓을 설치하시면 난로몸통을 100도씨 이하로 냉각시키게 되므로 화력이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실제로는 60~90도 정도로 저하 되겠지요)
이렇게 낮은 온도에서는 연료의 기화가 어렵기 때문에 화력도 약하게됩니다.
하지만 그으름이 나지는않고 약간의 불연소 현상으로서 매케한 냄새가 조금은 나게 됩니다.
불연소 현상은 연소실 내부의 온도저하로 2차적인 연소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문 2. 혹 질문1 에서의 문제가 현실이라면... 연료를 예열시켜서 연소실로 보내는 장치를 설치 한다면 가능할런지요..? (예열 온도는 300도 정도)
답: 장치적인 측면으로는 전기히터나 난로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300도 이상으로 연료를 가열 시기는게 전혀 어려운건 아닙니다.
문제는 그 다음인데 연료가 기화 이송 되면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처리문제가 어렵게 됩니다.
실제로 연료공급관을 가열시켜서 연료를 이송하면 금새 관로가 막혀버립니다.
기름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의 발화점이 다르기 때문에 난로의 최대 가열시간 또한 다른게 사실입니다.
화평난로의 특징이 별도의 기화장치나 기화에너지를 사용치않고 내부의 연소 열기로 자체 기화되기 때문에 발화점이 높은 폐 엔진오일등은 등유나 유압작동유등에 비교하여 가열시간이 다소 더 걸리게 되는것 입니다.
궁금한 부분의 답변이 되었는지요?
부족한부분은 추가질문을 하시거나 전화문의 하시면 보다 더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
|